[한국사] - 고조선과 한나라의 전쟁
조선은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인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임둔과 진번 등 주변의 소국들을 정복하면서 국가로서의 기틀을 다져나갔다. 또한 관료제도를 정비하고 흉노와 동맹을 맺고 중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서 독자적인 세력권을 형성나갔다. 그러던 중 기원전 128년 예족의 통치자 남려가 28만의 백성을 이끌고 요동에서 한에 복속되길 청했다. 한은 요동에 창해군을 설치하려 했으나 곧 주민들의 저항으로 폐지되었다. 또한 조선의 재상 역계경이 기원전 110년 경 백성을 이끌고 남쪽 진국으로 망명하기도 했다. 이는 조선의 지배층이 분열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동시에 중심세력이 영향력을 잃자 한나라는 흉노와 조선의 관계를 끊어내기 위해 조선으로 공격을 시작했다.
한나라의 지배자 무제는 흉노와의 전쟁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었기에 흉노에 협력하는 조선에 눈엣가시였다. 무제는 우선 흉노와 조선의 관계를 끊어놓기 위해 조선을 회유하려했다. 자신의 신하인 섭하를 사신으로 보냈다. 그러나 조선은 한의 뜻을 따르지 않았고, 섭하는 별다른 성과 없이 귀국길에 올랐다. 이 과정에서 섭하는 조선의 장수를 살해하고 패수를 넘어서 도망쳤다. 사신이 조선의 장수를 죽인 이 사건은 매우 큰 사건이었다. 조선은 한이 섭하를 처벌할 것이라 생각했으나, 한무제는 섭하에게 조선과 한의 변경지역의 군사책임자인 ‘요동군 동부도위’ 벼슬을 내렸다. 이 상황에 분노한 조선 왕 우거왕은 군사를 보내어 섭하를 처단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두 국가의 관계는 극단으로 치달았다. 한무제는 조선정벌군을 조직해서 기원전 109년 육지와 바다 양쪽에서 조선을 공격해왔다. 한의 누선장군 양복은 7000명에 이르는 수군을 이끌고 산둥반도에서 조선의 수도 왕검성으로 향했다. 그리고 육군은 좌장군 순체를 대장으로 5만명의 대군이 조선으로 공격해 들어왔다.
조선과 한나라의 전쟁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조선은 험준한 곳에 병사를 배치하여 한과의 첫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전황이 불리해지면서 한무제는 신하 위산을 사자로 보내서 협상을 진행하려하였다. 우거왕은 시간을 벌고자 태자에게 말 5000필과 양식으로 내어주며 거짓으로 항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패수를 건너려던 태자는 신변에 위협을 느껴 패수를 건너지 않고 조선으로 다시 돌아왔다. 이런식으로 전쟁은 계속 진행되었다. 순체의 육군과 양복의 수군은 조선의 수도인 왕검성을 포위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조선의 끈질긴 수성에 별다른 전공을 올리지는 못하고, 순체와 양복의 사이가 나빠지면서 한의 공격은 다시 지지부진 해진다. 순체는 한 조정에서 다시 파견한 공손수와 상의해 양복을 잡아가두고 다시 공격을 진행하지만 역시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전선이 교착상태에 빠지자 한나라는 한쪽으로는 군사적 무력시위를 하고 한편으로는 조선 지배층을 매수하고 분열시키는 화전양면전술을 사용한다. 왕검성 안에서도 한나라의 수도포위가 계속되자 화친을 주장하는 화친파와 결사항전을 주장하는 쪽으로 여론이 나뉘었다. 조선 지배층에서도 장군 왕겹 등 지배층 일부는 한에 항복했다. 이 상황에서 우거왕은 이들에 의해 암살당했다. 왕자인 장까지 한나라에 투항하면서 조선은 풍전등화의 상태와 같았다.
당시 왕검성에는 조선의 왕과 왕자까지 투항했지만 장군인 성기가 조선의 백성들을 지휘하며 항전했다. 그러나 성기의 저항도 얼마 지나지 않아 진압되었고, 왕검성은 함락되고 조선은 멸망하였다. 기원전 108년의 일이었다. 한나라는 조선의 옛 땅에 군현을 설치했다. 총 4개의 군현이 설치 되었다고 하여 한사군이라구 부른다. 그리고 여기에 한나라의 관리를 보내어 식민 통치를 진행했다. 한나라의 통치는 낙랑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낙랑군은 한나라와 한반도 사이에 무역 중계기지 역할을 하며 조선이 누렸던 중계무역의 특혜를 누렸다. 그 외 3개인 임둔 진번 현도 등의 군은 얼마 지나지 않아 폐지되었으나 낙랑은 313년까지 약 400년간 존속하였다. 고구려는 313년 낙랑군을 점령하면서 마침내 한사군을 몰아내는데 성공했다.
[한국사] - 고구려의 영토 확장과 전성기 (0) | 2022.01.04 |
---|---|
[한국사] - 고구려의 등장과 성장 (0) | 2022.01.03 |
[한국사] -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0) | 2021.12.28 |
[한국사] - 청동기 시대와 고조선의 등장 (0) | 2021.12.26 |
[중국사] -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 (0) | 2021.12.1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