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러시아사] - 폴란드의 2차 분할과 코시치우슈코 독립전쟁

TimeMap Project

by 에이구몬 2022. 6. 22. 10:23

본문

반응형

[러시아사] - 러시아와 폴란드의 2차 분할

폴란드의 왕 포냐톱스키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이 세 나라의 연합으로 폴란드가 분할되자, 폴란드의 왕 포냐톱스키는 위기김을 느껴 폴란드의 개혁을 추진했다. 폴란드 1차 분할은 폴란드인들에게 있어 재앙과도 같은 일이었으며 이들은 이로인해 개혁의 압박을 받게되었다. 폴란드의 개혁은 1773년에 시작되었다. 그리고 1788년부터 4년동안 의회 작업과 1791년 5월 헌법에서 개혁은 절정에 다다랐다. 헌법에 따르면 군주직은 다른 유럽 군주들 처럼 세습되고, 국왕은 효율적인 집행권을 가질 예정이었다. 근대적인 노선에 따른 내각 조직이 구성될 것이었다. 러시아와 오스트리아 그리고 프로이센도 이러한 폴란드의 개혁에 대해 공식적으로은 인정했다. 그러나 이러한 관용적 태도는 일시적인 태도였을 뿐이다. 

폴란드 내부에서는 개혁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러시아는 이들을 지원하여 이들이 타르고비차 동맹을 결성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게다가 이들의 주장을 지지하기 위해서 폴란드로 군대까지 파견하였다. 동시에 프로이센도 폴란드로 출병하였다. 프로이센은 개혁파의 지지세력이었으나 이 시점에서 입장을 바꾸어 침략군으로 돌변하였다. 이들로 인해 1793년 폴란드 2차분할이 이루어졌다.  

폴란드 2차 분할

폴란드 2차분할의 결과로 러시아는 총 300만명의 주민과 함께, 리투아니아 지역과 서부 우크라이나 지역을 차지했다. 프로이센은 도합 100만명 정도의 주민과 함께 단치히, 토른, 대폴란드를 장악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는 프랑스혁명의 여파로 2차 분할에 참여하지 않았다. 게다가 러시아는 이러한 성과 이외에도 나머지 폴란드 지역에 대한 파병권과 대외정책 통제권을 획득하여 사실상 폴란드를 발 아래 두었다. 

1794년 선언하는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

이러한 강대국들의 영토 강제 병합은 폴란드인들의 대규모 봉기를 불러왔다. 1794년 3월 코시치우슈코가 주도한 대규모 민족봉기는 폴란드인의 단합을 불러일으켰다. 1794년 3월 24일 미국 독립전쟁에 참전했던 군인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는 폴란드의 총궐기를 호소하였다. 그는 동원령을 공포하고 평력을 모집하였으나, 무기의 부족은 병력 확보의 큰 걸림돌이었다. 이들은 미약한 병력이나마 러시아군과 맞서 싸웠는데 4월 4일에는 라츠와비체 마을에서 장비면에서나 수적으로 우세한 러시아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이 전투의 승리로 폴란드에서 혁명파는 세력을 크게 시울 수 있었고, 러시아군으로의 편입을 위해 대기하던 폴란드 군은 코시이추슈코의 군대에 합류하기도 하였다. 코시치우슈코는 5월 포우아니에츠 선언을 통해 농민과 농노들을 혁명세력에 가담시키면서 세를 불려나갔다. 그러나 개혁과 군의 신속한 증강에서도 폴란드군의 상황은 아직 비관적이었다. 

1794년 4월 4일 " 라츠와비체 전투 "

5월 프로이센군이 전선에 가담하면서 러시아에 합세하자 전황은 뒤바뀌기 시작했다. 코시치우슈코의 부대는 6월 6일 러시아 - 프로이센 연합군에 패배하였고, 이틀 뒤인 8일에도 호침 전투에서 패배하였다. 바르샤바는 포위되었고, 상황은 고착화 되었다. 그러던 중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장군은 새로운 군단을 이끌고 폴란드를 공격해왔다. 수보로프는 폴란드 내의 러시아군과 연락하며 9월에는 테레스폴 전투에서 폴란드 군을 무찌르며 수도로 진군했다. 

마치에요비체 에서  코시치우슈코

코시치우슈코는 두개의 러시아 군단이 합류하는 것을 막기위해 바르샤바의 병력을 동원했으나, 러시아 군단들은 성공적으로 합류하여 폴란드 군을 공격하였다. 이 전투에서 코시치우슈코는 부상을 입고 포로로 잡혔다. 러시아군에게 포로가 된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보내지게 되었다.

코시치우슈코 봉기에서 폴란드 병사들

코시치우슈코의 후임 사령관인 토마 바브제치키는 내부를 수습할 능력이 없었고, 결국 바르샤바는 11월에 함락되었다. 11월 16일 바브제치키는 항복했고 이걸로 폴란드의 독립전쟁은 종료되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