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국사] - 정난의 변과 영락제, 명의 북경천도

TimeMap Project

by 에이구몬 2021. 3. 19. 22:17

본문

반응형

[중국사] - 정난의 변과 영락제, 명의 북경천도

명 태조 주원장

명을 건국한 주원장, 홍무제는 즉위와 동시에 자신의 장남 주표를 황태자로 삼았다. 그리고 나머지 아들들은 변경의 왕으로 임명하여 외적의 침입을 막도록 하였다. 그러나 주표는 1392년에 40세의 나이에 갑작스럽게 죽었다. 이에 홍무제는 자신의 황태손에게 제위를 물려주어야했다. 주원장의 아들들의 야심과 어린 황태손에 대한 염려가 겹쳐 주원장은 자신의 아들들에게 남경으로 오지말고 각자의 영지에서 자리를 지키라는 유서까지 남기기도 하였다. 자신의 장례를 구실로 아들들이 황태손에게 변란을 일으킬까 두려워한 나머지 한 행동이었다. 그러나 이 행동으로 주원장은 자신의 아들들에게 신임을 잃었고 말년에는 고독하게 병사하였다. 1398년 10월 21일 사망하였다. 뒤 이어 손자인 주윤문이 건문제로 16세에 즉위한다. 

명 2대 황제 건문제

건문제가 즉위하자 태조 홍무제가 멀리하던 건문제의 숙부이자, 홍무제의 아들들은 중앙 조정에 대한 반발로 대항방책을 세우기 시작했다. 명 조정에서는 이러한 번왕들을 견제하기 위해서 영지로 첩자와 자객을 파견하고 번왕을 감시하려 하였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번왕들 특히 북평에 근거를 둔 연왕 주체는 건문 1년인 1399년에 반란을 일으켰다. 연왕 집단은 농경민족인 한족뿐 아니라 몽골인, 여진인, 서역인 출신의 군인들로 구성된 강력한 군사집단이었다. 이에반해 남경의 건문 정권은 한족중심의 유가적 이상세계를 꿈꾸던 지식인들이 주도했기에 북평의 연왕세력에게 유대감을 갖긴 쉽지 않았다. 

정난의 변을 일으킨 연왕은 1399년 7월 5일 거병하여 남하하였다. 덕주를 거쳐1400년 5월부터 8월까지 제남부에서 벌인 전투에서 연왕은 패배하고 다시 북평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그해 11월 다시 남하하였다. 두번째 남하는 그해 12월 동창부에서의 전투 패배로 다시 연왕은 회군하였다. 

연왕군의  3차남하는  이듬해인 1401년 3월에 이루어졌다. 연왕군은 협하인 무읍에서 승리하고 다시 남하하였으나 같은해 7월에 전투에서 패배하고 완현을거쳐 북평으로 회군하였다. 마지막 4차 남하는 이듬해인 1402년 3월에 이루어졌다. 3월 10일 숙주에서 승리하고 남하하여 4월 22일에는 영벽에서 승리하고 6월 3일에는 단도현에서 승리하였다. 단도현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지척에 있는 남경은 곧바로 위협을 받았으며 열흘 뒤인 13일 연왕군은 남경을 함락시켰다. 3여년에 걸친 전쟁으로 연왕은 남경을 함락시켜 명의 황제자리에 올랐다. 이가 바로 영락제이다. 

연왕에서 영락제가 된 태조 홍무제의 4남 주체

정난의 변은 군사중심지인 북방이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인 남방을 제압한것인데, 연왕 집단의 상무적 기풍으로 당시 원과의 전쟁을 치룬 역동적 분위기를 잘 대변해주고 있다. 영락제는 즉위 이후 남경에 수도를 둔채 자신의 근거지이던 북평을 북경이라 명명하여 부도로 승격시키고 이곳에서 체재 하였다. 

남경을 단숨에 수도에서 탈거시킬 수 는 없었고, 약 20년 동안 수도로서의 위상을 유지시켰다. 북경이 명의 수도로 바뀌고 명이 천도한것은 1421년이었다. 이를 북경천도라고 한다. 운하인 회통하를 완공시켜 남북 물자교류의 교두보를 확보하였고 천도를 실행했다. 북경 천도로 인하여 남방에서 건국되고 남방인 위주로 경영되던 명도 명실공히 중국대륙을 아우르는 통일 정권으로 발돋움하였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