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일본사 - 국풍 문화의 발전

TimeMap Project

by 에이구몬 2018. 5. 25. 14:26

본문

반응형

국풍문화의 발전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국풍문화의 발전

일본은 7세기 이후로 대륙의 선진문화와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약 260년 동안 진행된 견당사 파견은 일본으로 대륙의 문물을 가져오는 유일한 창구이기도 했다. 그러나 894년 견당사 파견을 중지하면서부터 대륙으로부터의 문화 유입은 멈추게 된다. 견당사 파견 중지에는 당대 9~10세기 시대상을 살펴보아야 한다. 중화세계의 중심이였던 당나라는 물론 신라와 발해도 쇠퇴하면서 멸망하자 일본은 이 나라들과 대외관계를 단절하고 일본적인 가치를 모색하며 동아시아 권력교체기라는 시대의 흐름에 대항하였다. 그리하여 10세기 이후 대륙문화를 일본의 사상을 조화시키려는 국풍(國風)화 현상이 일어났다.

당에서 유입된 대륙의 문화와 본래 일본의 문화가 이 영향을 받아 세련되어 지면서 문학과 학술적 측면에서 일본적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히라가나 변천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문자

문자는 국풍화 현상 가운데 가장 주목할만 하다. 나라시대 이전의 일본은 한자를 사용하여 일본어를 표현하였지만 한자는 일본의 언어구조와는 맞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하기 쉽지 않았기에 나라시대에 접어들면서 일본 최고의 시가집 -만요슈-를 만들 때 한자 본래의 의미와 관계가 없는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하여 일본어를 표현하기 시작했는데, 이를 만요가나라고 한다. 신라의 설총이 만든 이두도 이러한 원리이다.

만요가나는 헤이안 시대에 들어오면 점차 사라지고 초서체로 바뀌면서 간략해지는데 이것이 히라가나로 발전하였다. 히라가나는 일본 특유의 감성을 구체적이고 세련되게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되었으며 이는 국문학 발달의 초석이 되었다.

또한 가타카나도 고안되어 한문으로 쓰인 불교경전의 훈독등에 사용되었다. 11세기 초에는 가나 문자의 자형이 거의 일정하게 완성되어 사용되었다. 히라가나는 주로 궁정 여성들이 사용하였으며 공적인 정치세계의 남성귀족들은 여전히 한자와 한문을 사용하였다.

 

문학

이 시기에 일본 고유 형식의 시 와카가 크게 발달했다. 대표적인 것이 --고킨와카슈-이다. 이책은 다이고덴노가 905년 -만요슈-이후의 시가를 정리하라고 명령해서 만들어진 칙찬 시가집으로, 모두 20권이며 1100수의 와카를 수록했다.

와카와 더불어 당시 최고 수준에 도달한 것이 모노가타리이다. 또한 가나 문학은 10세기 말 이후 궁정 여성들에 의해 더욱 발달했는데, 수필로는 쇼나곤의 마쿠라노소시, 장편소설로는 무라사키 시키부의겐지 모노가타리가 대표적이다.

 

미술

미술에서도 국풍화가 일어나 중국적인 기법을 사용하면서도 일본의 풍경을 소재로 한 야마토에가 많이 그려졌다. 야마토에는 주로 귀족의 저택에 있는 쇼시나 병풍에 그려졌으며 그 내용은 모노가타리와 결합하여 그 서사성을 그림으로 표현한 경우가 많았다.

평등원 봉황당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건축

건축에서는 연못을 중심으로한 정원이 발달했으며 정면에 아미타여래를 안치한 아미타당을 배치하는 사원건축이 발달했다. 후지와라노 요리미치가 우지의 별장에 건립한 봉황당이 대표적인데 봉황당을 중심으로한 평등원이 대표적 건축물이다.

 

 

 

 

 

 

 

 

 

 

 

 

 

 

728x90
반응형

'TimeMap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사 - 남북조 시대  (0) 2018.06.06
일본사 -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  (0) 2018.06.06
일본사 - 헤이안시대  (0) 2018.05.16
일본사 - 나라시대  (0) 2018.05.15
일본사 - 율령체제의 완비  (0) 2018.05.15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