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 전두환과 6월항쟁, 대통령 직선제의 도입
전두환 정권은 지속적으로 사회를 강하게 통제하고 반대인사들을 탄압하였다. 이를 통해 권력의 기반이 다져졌다고 생각한 정부는 1983년부터 유화 정책으로 돌아섰다. 제적 학생들을 학교로 복교시키고, 민주화 인사들을 복권시켰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반정부 민주화 운동이 활기를 띄게 되었다. 때마침 비리사건이 터지면서 정부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게되었다. 대학생과 청년층, 재야 인사들을 중심으로 사회 민주화운동이 본격화 되었다. 광주 민주화 운동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미국의 사과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며 사회 민주화 운동세력의 요구는 대통령 직선제 요구로 이어졌다.
1985년 초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정치 활동금지에서 풀려는 야당 정치인을 중심으로 조직된 신한 민주당이 돌풍을 일으키며 1야당으로 떠올랐따. 이에 야당과 재야 민주세력, 학생들은 직선제 개헌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이즈음에 터진 부천경찰서 성고문사건과 박종철 고문 치사사건으로 전두환 정권에 대한 저항이 더욱 거세졌다. 한때 대통령 직선제를 받아들일 것 같았던 정부는 정치권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당시 헌법을 그대로 다음 대통령 선거를 치르겠다고 선언했다. 그리고 여당인 민주정의당 후보로 노태우를 선출하였다. 이를 호헌조치라고 하는데 이 조치로 국민들은 더욱 거센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1987년 6월 들어 헌법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져갔다. 노태우가 민정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던 6월 10일 전국 스물두 곳에서 국민대회가 열려 수십만 명의 국민이 시위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열기는 6월 18일 최루탄 추방 국민대회와 6월 26일 범국민대회로 이어졌다. 학생과 재야 민주화인사, 야당 정치인뿐 아니라 노동자와 농민, 회사원 등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연일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사회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국민적 저항에 전두환정부는 굴복하여 6월 29일 마침내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정치인사 구속 석방, 정치활동 규제 철폐 등을 약속하였다. 이에 따라서 대통령을 5년 단임으로 하는 헌법개정이 이루어지고, 개정된 헌법에 따라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유신헌법에 의해 중단 되었던 대한민국 대통령 직선제는 다시 부활하였고 수많은 국민의 피로서 한국 사회는 민주화를 향한 한걸음을 걸을 수 있었다.
최후는 다음과 같다.
[러시아사] - 표트르 대제의 후계자, 예카테리나 1세의 등장과 표트르 2세의 즉위 (0) | 2022.05.16 |
---|---|
[러시아사] - 표트르 대제의 후계와 죽음 (0) | 2022.05.12 |
[한국사] - 전두환과 제 5공화국의 탄생 (0) | 2022.04.22 |
[한국사] - 1980 광주민주화 운동 (0) | 2022.04.21 |
[한국사] - 5.16 쿠데타와 박정희, 유신체제와 김재규 (0) | 2022.04.19 |
댓글 영역